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떼쓰는 아이, 단호하면서도 공감하는 방법 떼쓰는 아이, 단호하면서도 공감하는 방법은?  왜 무조건 단호하면 안 될까?부모가 아이의 떼를 무조건 단호하게 막으면 아이는 자신의 감정이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낄 수 있어요. ✔ 감정을 무시하면? → 아이는 더 크게 울고, 더 강하게 떼를 써요.✔ 감정을 인정해 주면?→ 아이는 안정감을 느끼고 점차 감정을 조절하는 법을 배워요. 💡단호함과 공감의 균형이 중요해요!✅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인정하고,✅ 그다음에 원하는 것을 다 들어주는 것이 아니라✅ 부모가 정한 ‘기준’을 유지해야 해요.   상황 1: 공감 없는 단호함 vs. 공감을 담은 단호함 ❌ 공감 없이 단호한 대화👦 (마트에서 장난감 보고 울며) “이거 사줘! 아니면 안 갈 거야!”👩 “안 돼! 안 사! 떼쓰지 마!”👦 (울면서 바닥에 드러눕기.. 2025. 3. 12.
질문하면 딴소리하는 아이, 효과적인 소통법은? 질문하면 딴소리하는 아이, 효과적인 소통법은?질문법을 바꾸면 아이들과 대화가 돼요! 아이가  대화를 회피할 때 [고민 상황]엄마: “오늘 유치원에서 뭐 했어?”아이: “음… (침묵)” 또는 갑자기 “엄마, 저기 자동차 봐!” 엄마: “밥은 다 먹었어?”아이: “응… 엄마, 나 공룡 놀이할래!” 우리 아이(36~48개월)는 질문을 하면 대답을 하지 않거나 전혀 다른 이야기를 해요.어린이집이나 유치원에서 어떤 일이 있었는지 궁금한데, 아이가 말을 잘 하지 않으니 답답할 때가 많아요.대화를 잘 이어가기 위해 어떻게 질문하면 좋을까요?  [왜 아이는 질문을 회피할까?]1. 질문이 어렵거나 부담스럽기 때문- “오늘 유치원에서 뭐 했어?”처럼 너무 포괄적인 질문은 아이가 무엇을 말해야 할지 몰라 대답을 회피할 수 .. 2025. 3. 12.
떼쓰는 아이 어떻게 단호하면서도 공감할 수 있을까요? 떼쓰는 아이, 단호하면서도 공감하는 방법의 기본은 무조건 단호하면 안돼요. 왜 무조건 단호하면 안되는지, 그렇다면 어떻게 아이의 감정을 인정해 줄 수 있는 지 이야기를 해볼께요.  오늘은 예시를 적절하게 석어서 말해볼께요.     상황 1: 마트에서 장난감 사달라고 떼쓰는 아이 👦 (장난감을 들고) "이거 사줘! 아니면 안 갈 거야!"👩 "오늘은 장난감 사는 날이 아니야. 장난감 안 사."👦 "으아아앙!!! 사줘!!!" (바닥에 드러눕기)👩 "안 돼! 떼쓰면 더 안 사!"👦 (더 크게 울며) "으아아아앙!!!" ➡  부모 반응: "안돼" 라는 말을통해 아이의 감정을 인정하지 않고 바로 거절함.➡  아이 반응: 엄마의 거절로 인해 좌절감을 느끼고 더 강하게 떼씀.  상황 2: 놀이터에서 집에 가기.. 2025. 3. 12.
15개월 아이, 아직 잘 걷지 못해요. 괜찮을까요? 15개월 아이인데요. 잘 걷지 못해요. 앉아서 서있는건 가능한데요.걱정이 되는데 물리치료 병원을 다녀야 하는지 어떤 이상이 있을지 너무 걱정이 돼요! 아이가 15개월이 되었는데도 아직 걷지 못한다면 걱정이 많으실 거예요.하지만 걷는 시기는 아이마다 다를 수 있고, 반드시 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와 지켜보면서 기다려도 되는 경우가 있어요. 보통 언제 걷기 시작할까요?일반적인 발달 범위: 9~18개월평균적으로 걷기 시작하는 시기:12~14개월 ✔ 걷기 전에 보이는 단계- 6~10개월: 잡고 일어서기- 9~12개월: 가구를 잡고 이동하기(가구 타기)- 12~15개월: 혼자 서기 & 한두 걸음 떼기 15개월에도 아직 혼자 걷지 못한다고 해서 반드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에요!하지만, 몇 가지 체크해야 할 사항이.. 2025. 3. 12.
장난감 공유가 어려운 아이, 어떻게 지도할까? 장난감 공유가 어려운 아이, 어떻게 지도할까? 내 거야!”라고 외치는 아이, 올바른 소유 개념을 가르치는 방법 [고민 상황]우리 아이(36~40개월)는 친구가 자기 장난감을 만지거나 가져가면 “내 거야!”라고 소리치며 손에서 확 잡아채요.때로는 친구가 관심을 보이기만 해도 얼른 장난감을 끌어안고 놓지 않으려고 해요.공유 개념을 알려주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왜 이런 행동을 할까?]1. 소유 개념이 강한 시기- 3~4세 아이들은 “내 것”과 “남의 것”을 인식하기 시작하면서 자기 물건에 대한 애착이 강해요.- 소유욕이 강한 것은 자연스러운 발달 과정 중 하나예요. 2. 공유의 개념이 아직 어려움- 아이들은 “나눠야 한다”는 개념보다 “내가 가진 것을 빼앗기면 안 된다”는 생각이 먼저 들어요.- .. 2025. 3. 12.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지 않을 때, 부모는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지 않을 때, 양육자는 어떻게 알려주고 교육해야할까요? 오늘은 감정을 알고싶은 양육자가 울거나 떼를 쓰는 아이를 대하는 방법을 이야기 해보려고해요.   [고민]아이의 감정을 알고 싶은데, 아이는 울거나 떼만 쓰고 제대로 말하지 않아요."왜 화났어?" "무슨 일이야?"라고 물어봐도 대답하지 않고 "아니야!" "몰라!"라고만 해요.억울한 일이 있거나 속상할 때도 설명하기보다는 소리 지르거나 물건을 던지고 도망가요.이럴 때 부모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우리 아이는 왜 감정을 말로 표현하지 못할까요?첫번째로 아직 말보다 행동이 익숙해요✔️ 3~4세 아이들은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아요.✔️ 속상하거나 억울한 감정이 들면 본능적으로 몸이 먼저 반응해요. 두번째는 "왜?".. 2025. 3. 11.
친구에게 물건을 자꾸 뺏기는 아이, 괜찮을까요? 친구에게 물건을 자꾸 뺏기는 아이, 괜찮을까요?  [사연] 36개월이예요. 친구랑 놀때 친구에게 물건을 자꾸 뺐겨요. 아이가 내꺼야 내가 놀고 있던거야 라고 말하면서 의사를 표현했으면 하는데요. 그게 잘 안되는지 아이의 마음에 상처가 없을까 걱정이돼요! 가끔은 쳐다보고 울지도 않고 다른놀이를 하고 있는게 아이가 괜찮은건지 너무 어릴때 부터 참게 된는건지 걱정이 됩니다.  친구에게 물건을 자꾸 뺏기는 아이, 괜찮을까요? 36개월 아이가 친구와 놀면서 자신의 물건을 빼앗겨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거나, 말로 표현하지 못하는 모습 이 보일 때 부모로서는 걱정될 수밖에 없어요."내 거야!" "내가 먼저 갖고 있었어!" 하고 표현하면 좋겠지만, 아직 언어적으로 충분히 표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어요.그렇다면, 아.. 2025. 3. 11.
새학기 아이의 소통 방법! 궁금한데 아이가 말을 안 해요 전문가가 알려주는 새학기 아이의 소통 방법"오늘 어땠어? " "..." 새학기가 궁금한데, 아이가 말을 안 해요!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 부모는 아이가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하지만, 정작 아이는 별다른 대답을 하지 않거나 엉뚱한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아요. 특히 "오늘 어땠어?" 같은 질문에 반응하지 않거나, 자신이 불안할 때 부모를 계속 찾는다면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요? 바로 저희 아이가 이래요! 라는 부모님들이 많을텐데요.어떤 아이들이 이런 행동을 할까요 ✔ 말보다 행동으로 표현하는 아이✔ 감정 조절이 서툴러 표현 방법을 모르는 아이✔ 익숙한 환경을 좋아하고 새로운 변화를 어려워하는 아이✔ 불안할 때 부모에게 의존하는 성향이 강한 아이  이런 아이들은 추상적인 질문에 부담을 느끼고, 감정 표현이.. 2025. 3.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