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가 처음이고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한 육아정보 사이트를 추천해 드려볼까해요.
육아정보사이트
1.육아정책연구소: 대한민국의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기관으로, 육아 관련 정보와 동향을 제공합니다.
2.베이비뉴스: 임신, 출산, 육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와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3.맘스홀릭베이비: 네이버 카페로,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소통하는 커뮤니티입니다.
4.EBS 육아학교: 부모들의 육아 고민을 해결하고, 육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5.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 서울시의 육아 지원 정책과 정보를 제공하고, 어린이집과 가정양육을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육아정책 연구소
육아정책연구소는 대한민국의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기관이예요.
육아 정책 연구 및 개발: 육아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육아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 때문에
육아에 대한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입니다. 육아종사자들에게 더 좋은 사이트이죠.
육아정책연구소의 역할은 3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 육아 정책 정보 제공: 육아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부모와 보육교사 등에게 교육을 제공합니다.
- 국제 교류 및 협력: 해외의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국제 교류를 통해 국내 육아 정책의 발전을 도모합니다.
- 육아 정책 연구 및 개발: 육아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육아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합니다.
홈페이지: https://www.kicce.re.kr/
https://www.kicce.re.kr/
www.kicce.re.kr
홈페이지에서는 육아 정책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연구 보고서와 통계 자료를 제공하는데요. 이런 정보는 홈페이지 방문을 통해 얻을 수 있습니다. 크게 얻을 수 있는 정보3가지를 정리해보면요.
육아 정책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담고 있으며, 육아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보고서.
육아 정책의 효과를 분석하고, 육아 환경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되는 통계 자료, 부모와 보육교사 등에게 육아 정책에 대한 교육을 제공, 해외의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국제 교류를 통해 국내 육아 정책의 발전을 도모하는 국제 교류 및 협력에 대한 부분도 얻을 수 있습니다.
베이비뉴스
베이비뉴스는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육아 전문 매체 입니다.
베이비뉴스가 육아정보를 주는 역할 로는 뭐가 있을까요?
- 임신, 출산, 육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뉴스와 정보 제공
- 부모들의 육아 고민 해결을 위한 상담 및 교육 제공
- 영유아 제품 및 서비스 리뷰 제공
홈페이지: https://www.ibabynews.com/
베이비뉴스
대한민국 No.1 육아신문, 실시간주요뉴스와 육아정보
www.ibabynews.com
홈페이지에서는 다양한 육아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부모들의 고민과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육아 정책에 대한 정보도 제공하고 있으며, 정부의 육아 지원 정책에 대한 소식도 전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채널: 베이비뉴스TV
유튜브 채널에서는 육아 관련 영상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임신, 출산, 육아, 교육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부모들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영상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육아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베이비뉴스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맘스홀릭베이비 카페
맘스홀릭베이비는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대형 육아 커뮤니티로, 회원 수가 약 500만 명에 달합니다. 대한민국의 엄마들이라면 육아관련 가장 큰 카페가 아닐까 싶은데요.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정보 공유 하면서 카페 회원들 간의 소통과 교류 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입니다.
카페 주소: https://cafe.naver.com/imsanbu
맘스홀릭 베이비 (330만 엄마들의... : 네이버 카페
임신, 출산, 육아의 모든 지식과 핫딜정보, 선배맘들의 노하우, 엄마들의 일상, 임신하면 맘스홀릭베이비!
cafe.naver.com
카페의 경우는 3가지로 특징을 정리할 수 있는데요.
- 다양한 정보 제공: 임신, 출산, 육아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회원들이 직접 작성한 후기와 경험담도 많이 올라와 있어, 실제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소통과 교류의 장: 회원들 간의 소통과 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집니다. 고민이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서로 위로하고 격려하는 따뜻한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습니다.
- 공동구매 및 이벤트: 공동구매와 이벤트를 통해 저렴한 가격으로 육아용품을 구매할 수 있으며, 다양한 경품을 받을 수 있는 기회도 제공됩니다.
EBS 육아학교
EBS 육아학교는 부모들의 육아 고민을 해결하고, 육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고 있으며, 육아 관련 다양한 영상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홈페이지에서는 전문가들의 칼럼과 자료를 볼 수 있고, 부모들의 고민과 질문을 올리면 전문가들이 직접 답변해주는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육아에 관심이 있는 부모님들이 많이 이용하는 사이트 중 하나입니다.
홈페이지 주소: https://www.ebspin.co.kr/
EBS 육아학교
www.ebspin.co.kr
육아관련 콘텐츠는 아래와 같은데요
- 10분 특강: 육아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10분 내외의 짧은 영상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EBS 육아학교 클립: 유튜브 채널에서 제공하는 육아 관련 영상 중에서 인기 있는 클립을 모아놓은 코너입니다.
- 부모4.0: 부모들의 육아 고민을 해결하고, 육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 생방송 부모: 대한민국의 육아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부모들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 다큐프라임: 대한민국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으로, 육아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깊이 있는 내용을 제공합니다.
콘텐츠는 EBS 육아학교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에서 무료로 시청할 수 있습니다.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는 서울시의 육아 지원 정책과 정보를 제공하고, 어린이집과 가정양육을 지원하는 기관입니다.
육아정책을 위한 여러가지 역할 중 5가지로 정리하면 아래와같은데요.
- 어린이집 지원: 어린이집의 운영과 보육교직원의 역량 강화를 지원합니다.
- 가정양육 지원: 부모교육, 부모상담, 장난감 대여, 놀이실 운영 등을 통해 가정양육을 지원합니다.
- 정보 제공: 육아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부모와 보육교직원의 교육을 제공합니다.
- 연구 및 개발: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새로운 육아 프로그램을 개발합니다.
- 국제 교류 및 협력: 해외의 육아 정책을 연구하고, 국제 교류를 통해 국내 육아 정책의 발전을 도모합니다.
서울시는 현재 서울에 25개의 자치구 육아종합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자치구 센터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육아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홈페이지 주소: https://seoul.childcare.go.kr/
보육통합정보시스템
seoul.childcare.go.kr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는 서울시의 육아 지원 정책과 정보를 제공하고, 부모와 보육교직원의 교육 신청 및 장난감 대여 신청 등을 할 수 있습니다.
- 부모교육: - 영유아 발달 이해, 부모 역할 이해, 자녀와의 대화법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 온라인 교육과 오프라인 교육 모두 제공됩니다.
- 부모상담: - 자녀의 발달과 행동에 대한 상담을 제공합니다. - 전화상담, 온라인상담, 방문상담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됩니다.
- 장난감 대여: - 장난감을 무료로 대여할 수 있습니다. - 대여 기간은 14일이며, 각 자치구 센터마다 대여 가능한 장난감 종류와 수량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놀이실 운영: - 영유아들이 자유롭게 놀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합니다. - 센터마다 운영 시간과 이용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체험 프로그램: - 영유아를 대상으로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합니다. 요리, 미술, 음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자치구 센터마다 프로그램 내용과 일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보육교직원 교육: -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합니다. - 역량 강화, 영유아 학대 예방, 건강 ·영양 ·안전 교육 등을 제공합니다. 위의 프로그램은 서울시육아종합지원센터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자치구 센터에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으니 해당 센터의 홈페이지나 전화를 통해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오늘은 이렇게 육아에 대한 정보를 정리해 보았어요.